1985년 총선 직후 8월 말, 제1야당 신한민주당(신민당)은 개헌 추진본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9월 정기국회에서 '개헌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공식적으로 제안한다.
1986년 초에는 민주헌법을 쟁취하기 위한 범국민 서명 운동이 전개되었다. 1987년 12월에 시행될 대통령 선거 전에 직선제 개헌을 이루어 군사 독재를 종식시켜야 한다는 의도였다.
특히 대학가에서는 연일 격렬한 민주화 시위를 벌였다. 당시 집권당이었던 민주정의당(민정당) 당사와 연수원을 점거했고, 학생들은 분신, 투신자살까지 감행했다.
1986년 한 해 동안 시위 진압용 최루탄 구입 비용은 60억 원에 이를 정도였다고 한다.
6월 항쟁이란?
1987년 1월 14일,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일어났다. 사실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과 폭행으로 사망에 이르렀는데, 경찰은 초기에 단순 쇼크사로 발표했다.
사건의 진상을 은폐하고 조작하려 했으나, 오히려 국민들의 분노를 샀다.
수만 명의 학생들과 시민들은 박종철 추모대회와 고문 추방 민주화 대행진에서 '직선 개헌', '독재 타도'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불안감을 느낀 전두환 정권은 4월 13일 호헌 조치를 발표한다.
"이제 본인은 임기 중, 개헌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현행 헌법에 따라 내년 2월 25일 본인의 임기만료와 더불어 후임자에게 정부를 이양할 것을 천명하는 바입니다."
호헌 조치는 현행 헌법에 따라 권력을 이양한다는 뜻이었다. 이뿐만 아니라, 그들은 창당을 방해하고, 정치적 반대세력, 민주화 세력에 대한 탄압을 강화했다.
결국 학계, 문화계, 종교계, 재야인사들이 '군사정권 유지를 위한 호헌조치 반대 성명' 등 민주 시국선언을 내놓았고, 투쟁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5월 18일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에 의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은폐·축소, 조작된 것으로 밝혀진다.
6월 9일에는 연세대학교 이한열이 학교 앞에서 시위 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았고 7월 5일 사망한다. 이 모습은 미국인 기자에게 포착되어 전 세계적으로 이목을 끌게 되었다. 시위의 규모는 더욱 커진다.
6월 10일에는 김영삼, 김대중, 박형규, 김성수, 금영균, 계훈제, 이돈명, 송월주, 고은, 인명진, 오충일 등이 주도한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는 '박종철 고문살인규탄 및 호헌철폐 국민대회'를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개최한다.
같은 날 민주정의당에서는 노태우 대표위원이 집권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이렇게 6월 민주 항쟁은 막이 올랐다.
경찰은 강경 진압으로 일관했고, 6월 15일까지 명동성당 점거농성은 지속되었다. 명동성당의 점거농성은 항쟁의 지속과 전국적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6월 18일에는 '최루탄 추방의 날'을 선포했다.
6월 20일에는 노태우가 "대통령 후보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라며 입장 표명을 했다. 하지만 말뿐이었고, 후속 조치는 없었다.
6월 26일에는 '민주헌법쟁취 국민평화대행진'이라는 평화시위가 전국 33개 도시와 4개 군·읍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6월 29일 노태우 민정당 대표위원은 '6.29 선언'이라는 직선제 개헌 시국수습 특별선언을 발표한다.
-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통한 1988년 2월 평화적 정권 이양
- 대통령 선거법 개정을 통한 공정한 경쟁 보장
- 김대중 사면복권과 시국 관련 사범드의 석방
- 인간 존엄성 존중 및 기본 인권 신장
- 자유언론의 창달
- 지방자치 및 교육자치 실시
- 정당의 건전한 활동 보장
- 과감한 사회정화조치의 단행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한열 열사 최루탄 피격사건, 그가 원했던 것은... (0) | 2021.02.15 |
---|---|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책상을 탁치니 억하고 죽었다" 어떻게 밝혀졌나? (0) | 2021.02.14 |
이성계 전어도(傳御刀), 땅에서 검이 나오다? (0) | 2021.02.12 |
군 사조직 '하나회'란? (군부 진급 치트키) (0) | 2021.02.11 |
노재현 국방부 장관, 꽁무니를 빼다 (1) | 2021.02.1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