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출처 - 뿌리깊은나무, 세종대왕과 태종 이방원 >
아버지 태종 이방원, 아들 세종 이도는 이상 자체가 달랐다고 생각이 든다.
태종 이방원은 조선을 건국할 당시에도 무력을 자주 사용했으며, 자신의 목적을 위해 정몽주, 정도전과 같은 위인들을 죽이기도 했다.
왕위에 오른 뒤에도 강력한 왕권을 행사했고, 이에 대항한다면 모두 없애버리는 무(武)의 정치를 해왔다.
그 반면 세종 이도는 책을 매우 좋아했고, 무(武)와는 전혀 거리가 멀었다.
그 당시 조선은 매우 조화로웠고, 아무리 정적이고, 대항한다 하더라도 끌어안는 문(文)의 정치를 펼쳤다.
< 태종 실록 >
1418년 6월 3일 조선의 제3대 왕인 태종 이방원은 세제 이제를 폐한다.
그리고 셋째 아들 '충녕대군'을 왕세자로 책봉한다. 태종실록에 나오는 기록을 보면 "행동이 지극히 무도하여 종사를 이어받을 수 없다고 대소신료들이 청하였기 때문에" 세자를 폐했다고 한다.
그 반면 "충녕대군은 천성이 총명하고 민첩하다, 생각보다 매우 학문을 좋아하며, 지체를 알아서 번번이 큰일에 헌의하는 것이 진실로 합당하다.
또한 매일 같이 학문에 힘쓰고, 너무 책을 좋아한 나머지 몸이 상할까 봐 태종이 매번 밤에 글을 읽지 못하도록 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왕제자로 책봉한다며 그 이유를 밝혔다.
(1) 지체 (治體) 정치의 요체
(2) 헌의 (獻議) 윗사람에게 의견을 아룀
< 이미지 출처 - 뿌리깊은나무, 상왕 태종 이방원 >
태종 이방원은 두 달 뒤 세자 '이도'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자신은 '상왕'으로 물러앉았다.
하지만 조건부 양위였는데, 이도가 장년이 되기 전까지 군사에 관련된 문제, 국가에 관련된 결단하기 어려운 일 등 이러한 일이 있을 때마다 '정부와 6조 그리고 상왕이 함께 논의한다.'였다.
아마 자신과 달랐기 때문에 조금 신경이 쓰여서 그랬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아들을 위해서 그랬을 거 같은 생각이 더 많이 든다. 그렇게 이도는 조선 제4대 왕에 오른다. 세종대왕의 당시 나이는 스물둘, 갑자기 왕세자로 책봉되어 준비가 많이 부족했다.
우리가 알던 세종대왕도 집권 초기에는 대부분 사안에 대해 "상왕의 뜻이 이러하니", "상왕께 아뢰어보겠소." 라는 말이 많았다. 아버지인 태종에게 매일 묻고, 아버지의 뜻을 많이 반영했었다.
세종대왕은 엄한 아버지 태종의 테스트를 받는 입장이라 불안하고, 갑갑한 상황이 아주 많았다. 자신을 최대한 낮추고, 밤낮없이 무섭게 공부하며 어렵게 그 시절을 보냈다고 한다.
태종이 세상을 떠나고, 조선에 위대한 군주 세종대왕이 탄생한다.
태종이 이도에게 왕위를 물려준 것은 이방원의 가장 큰 업적으로 남겨졌다.
이방원의 아들이 세종대왕이라는 것에 놀라는 사람들이 많다...
백성을 아끼고 섬겼고, 무력보다는 토론을 더 많이 했던 세종대왕
조선시대 그 당시 자주, 민본, 실용정신을 실천한 위대한 군주였다.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동대지진, 조선인을 이용해 대학살하다. (1) | 2018.01.03 |
---|---|
김일성은 스탈린에게 지도자 면접시험을 봤다. (0) | 2018.01.02 |
정도전과 정몽주, 그들이 끊임없는 토론한 이유는? (0) | 2017.12.31 |
이순신 장군, 현충사에 일왕 상징 금송이.. 끝나지 않은 곤욕 (0) | 2017.12.30 |
1934년 FIFA 월드컵은 막장 월드컵이었다. (0) | 2017.12.3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