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노빌 원전사고

 

1986년 4월 26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한 폭발에 의한 방사능이 유출된 사고를 '체르노빌 원전사고'라고 말한다.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사고, 또는 체르노빌 참사라고도 한다.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은 1970년에 착공, 1978년 5월에 상용운전을 개시한다. 1986년 4월 26일, 체르노빌 원전사고가 발생하며 주변 일대뿐만 아니라, 전 세계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방사능 물질이 퍼져나갔다.

 

체르노빌 원전은 現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예프시 100km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1997년 1호기 준공을 시작으로 1983년 4호기까지 준공되어 100MWe급의 '흑연감속 비등경수 압력관형 원자로' 총 4개 호기가 운전되고 있었다.

 

흑연감속 비등경수 압력관형 원자로는 'RBMK'라고도 불리는데 소련이 개발한 원자로로 기술이 많이 필요 없고 가격이 싼 편이지만, 안전성이 상당히 낮고 제어하기 힘들다고 알려져 있다.

 

RBMK는 감속재로 흑연을 사용하며, 연료로는 천연우라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압력관 개수만 늘리면 원자로를 크게 만들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운전 중 연료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대신 다른 원자로 유형에 비해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다.

 

체르노빌 원전사고로부터 2년 후, 죄책감으로 '발레리 레가소프'가 자살한다. 발레리 레가소프에 의하면 이미 사고 이전부터 소련 정부는 이 흑연감속 비등경수 방식 발전소의 위험성을 알고 있었으나, 이를 은폐했다고 한다.

 

 

 

체르노빌 원전사고 원인

 

체르노빌 원전사고는 원자로 자체의 설계 결함과 방사선사고에 대한 심층 방어의 결여, 운전원 및 조직의 안전 불감증 등이 결합되어 발생된 것이라고 한다.

 

근본적인 원인은 원자로의 급격한 출력 폭주로 인해 원전이 폭발한 것이다.

 

원자로는 핵분열 과정에서 발생한 열로 물을 뜨겁게 데운다. 이때 발생하는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냉강수(물)는 뜨거워진 핵연료봉을 식히면서 열을 전달해 증기도 만들며 계속 순환되어야 한다. 만약 순환이 멈추게 된다면 사고가..

 

구소련 기술자들은 만약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 정전 시, 비상전력 공급이 얼마나 가능할지에 대하여 실험했다. 쉽게 말하자면 전원이 끊어진 상태에서 원자로의 터빈이 관성에 의해 회전할 때, 그 회전에너지가 원자로의 냉각 펌프 등에 얼마나 오랫동안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그런데, 작업자의 조작 미숙으로 원자로 내의 출력이 갑자기 떨어진다.

 

출력이 떨어진 원인으로 목표 출력을 설정하는 것을 잊었다는 이야기도 있고, 원자로의 제어봉을 자동 조작하는 과정에서의 실수를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1차 폭발에서는 노심이 파괴, 2차 폭발에서는 거대한 원자로의 콘크리트 뚜껑이 공중으로 날아갔다. 직원들은 사태의 심각성을 이해하지 못했고, 그냥 상황을 통제하기 위해 현장에 남았다.

 

사고 현장에 있었던 사람은 총 600명이었으나 이들 중 누구도 방사능 방호 장비, 방사능 측정 장비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심지어 우크라이나 당국은 36시간 뒤에 인근 주민 5만 명을 대피시키라는 명령을 내린다.

 

100km 떨어진 수도 키예프에서는 어떠한 경고도 없이 노동절 퍼레이드가 계획대로 진행되었다. 방사능 물질은 바람을 타고 대기 중으로 흘러나와 유럽 전역으로 퍼졌다.

 

그런데.. 사고를 낸 4호 원자로가 봉인된 이후, 전기가 모자란다는 이유로 우크라이나 정부는 1, 2, 3호 원자로를 계속 가동한다. 게다가 옆에 2기의 동형 원자로를 건설하다가 1988년에 취소한다.

 

1991년 2호 원자로에 화재가 발생했고, 끝내 폐쇄한다. 1호 원자로도 폐쇄하라는 각국의 압력으로 인해 1996년 11월에 폐쇄되었고, 2000년 11월에 3호도 정지됨으로 체르노빌의 모든 원자로가 멈춘다.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시간이 지나 2022년 2월 25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는 러시아군이 점령한다.

 

그리고, 감마선이 비정상적으로 폭증한 것이 감지된다.

 

전쟁 중, 시설을 잘 못 건드린 것일까? 아니면 방사성 물질을 이용해.. 공격을..?

 

코로나로 인해 2021년 7월 23일에 늦게 열린 '2020 도쿄 올림픽 개막식' 도중, 중계방송을 진행한 '대한민국 방송국인 MBC'가 우크라이나 선수단을 소개하면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넣었다가 국내외로 개망신을 당하고 비난을 받았었다.

 

 


 

우크라이나 사태에 관련 글은 아래를 참고.

글이 유익했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구독하시면 더 많은 이야기들이 많아요!

 

 

러시아 우크라이나 역사 / 우크라이나는 언제 자유로워질까??

17세기 중반 우크라이나 중부에 '카자크 수장국'이 세워져 백 년 이상 '러시아 차르국'의 압력을 견뎠다. 하지만 결국 폴란드와 러시아에 의해 분할된다. 18세기 후반에는 폴란드 분할을 통해 우

hp-jun.tistory.com

 

우크라이나 돈바스 전쟁과 유로마이단 시위

우크라이나 사태는 유로마이단 시위를 빼놓고 말할 수 없다. 유로마이단 시위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합병과 돈바스 내전의 도화선으로 작용하게 된다. 우크라이나에서 2013년 11월 ~ 2014년 2

hp-jun.tistory.com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 크림반도 역사

크림반도는 동유럽에 있으며, 흑해와 아조프 해 사이에 있는 반도다. 크림반도는 페레코프 지협을 통해 본토와 연결되지만 사실상 섬에 가까운 모양을 하고 있다. 크림반도의 북부와 중부는 평

hp-jun.tistory.com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NATO)란? / 탄생한 이유는?

제2차 세계대전 후, 서유럽은 경제적으로 황폐해졌다. 소련의 물밑 작업으로 동유럽이 모두 공산화되자,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은 큰 위협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대한 집단방위체제 확장을 위해 1

hp-jun.tistory.com

 

푸틴 "민스크 평화협정 더는 존재 안해" / 민스크 협정이란?

러시아 블리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민스크 평화협정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상원이 해외파병 요청을 만장일치로 승인한 뒤 민스크 평화협정에 대한 질

hp-jun.tistory.com

 

베트남 전쟁 원인 /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꼭 알아야 할 역사

베트남 전쟁은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닮았다. 그렇기 때문에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꼭 알아야 할 역사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우리 역시 북한이라는 곳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베트남 전쟁은 동

hp-jun.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